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3 DGPS (Differencial GPS) 관해서 2.2 DGPS 시스템 2.2.1 DGPS 기본이론 위성항법보정시스템(DGPS)은 GPS위성의 의사거리 오차에 대한 보정치를 계산하여 방송하는 시스템이다. 위성항법보정시스템은 기준국(보정치 송신국), 감시국, 보정송신국, 통제센터 및 통신회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준국은 GPS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계산한 의사거리 보정치와 통제센터가 시스템의 무결성(integrity) 확보를 위하여 지정하거나 작성하는 정보를 항법용 라디오비콘 신호(Maritime Radiobeacon Signal)를 방송하는 중파의 반송파에 변조되어 이용자에게 방송되며, 수신된 보정치는 위치정밀도 향상에 사용되어진다. DGPS는 위치를 알고 있는 기준국에서 위성을 통하여 구한 위치와 당초위치와의 차이를 보정하는 위치 보정방식, 수신.. 2014. 4. 9. 현개 개발중인 GNSS 시스템들 i)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시스템이자 2005년 12월 29일 현재 모든 기능이 정상 작동 중인 유일한 시스템입니다. 24개에서 27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여섯 개 항로를 순항하는 GPS는 상공 20,000km의 중궤도에서 55도 각도를 이루며 지구를 감싸고 있습니다. ii) GLONASS(Global'naya Navigatsionnaya Sputnikovaya Sistem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미국의 GPS에 대항하여 만들어진 소련의 위성 항법 시스템입니다. 역시 24개의 위성으로 이루어졌으나 재원 부족으로 노후 위성을 교체하지 못해 전 지구적 시스템은 가동되고 있지 않는 실정입니다. 2011년.. 2014. 4. 9. Beidou (중국 위성 항법 시스템) 중국의 위성 항법 시스템 - Phase3 : 총 35개 위성 = 5 GEO(Geostationary Orbit)위성 => 58.75도E, 80도E, 110.5도E, 140도E, 160도E + 27 MEO(Medium Earth Orbit)위성 => 고도 21500km, 55도 inclination, 3개 궤도면에 9개씩 배치 + 3 IGSO(Inclined Geosynchronous Orbit)위성 => 고도 36000km, 55도 inclination, 3개 궤도에 배치 - 현재 Phase2 총 14개 위성 사용가능 = 5GEO + 5 ISGO + 4MEO[출처] Beidou|작성자 Finn 2014. 4. 9. GLONASS 시스템 요즘 출시되는 스마트폰 사양표를 뒤적거리다 보면, ‘GLONASS’라는 단어가 심심찮게 눈에 띈다. GLONASS는 우리가 흔히 쓰는 위성항법장치인 GPS와 비슷한 기술이다. 위성 기반의 위치정보시스템의 대명사인 GPS는 세계 어디서나 쓸 수 있는 미국의 군사용 위성 기술이다. 미국은 1978년부터 24개의 위성과 3개의 보조 위성을 쏘아 올렸고 그 중 일부 기능을 축소해 민간에 무료로 공개했다. 실제 미군이 쓰는 군사용 GPS는 정확도가 더 높다.현재 GPS는 전세계 스마트폰을 비롯해 내비게이션 등 거의 모든 장치에 들어가며 표준처럼 돼 버렸다. 흔히 내비게이션을 GPS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스테플러와 호치키스같은 관계다. 정확하게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 2014. 4. 9. 2014년 4월 2일 GLONASS System 오류발생 2014년 4월 2일 06시부터 17시까지 러시아 위성 시스템인 GLONASS가 전체적으로 오류가 발생하여 GLONASS를 이용한 위치측위에 문제를 일으키는 현상이 발생했다. 4월2일 이 시간대에 GLONASS를 지원하는 휴대폰으로 네비게이션을 사용시에는 경로이탈 혹은 위치 미수신 현상이 많이 발생했을수 있습니다. - 기사 원문 (http://gpsworld.com/glonass-gone-then-back/) In an unprecedented total disruption of a fully operational GNSS constellation, all satellites in the Russian GLONASS broadcast corrupt information for 11 hours, from .. 2014. 4. 4. 위치측위에 관한 여러가지 방법 Cell-ID(Cell Identity) Cell-ID 기술은 가장 간단한 측위기술로서 COO(Cell Of Origin) 혹은 CGI(Cell Global Identity)로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각 기지국(BS:Base Station)마다 위치가 지정된 ID를 부여하고 해당 기지국에 해당 이동국(MS:Mobile Station)이 등록되면 이를 Cell ID로 매칭하여 해당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단말기의 위치를 구하는 기술이며 단말기(Handset)와 통신망(Network)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별한 수정없이 거의 모든 이동통신망에서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위치정확도가 Cell의 반경과 같기 때문에 도심 지역과 외각 지역에 따라 위치 오차가 수백m ~ 수십km에 달한.. 2014. 4. 2. 이전 1 ··· 30 31 32 33 34 다음 반응형